"이 기쁜 날, 눈물이 나는 이유는..." > 문화


"이 기쁜 날, 눈물이 나는 이유는..."

[기고] 한국장애인보치아연맹 우원식 회장

본문

2008베이징장애인올림픽에서 보치아 종목이 효자종목으로 떠오르자 보치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그 어느때보다 뜨겁다.

수많은 네티즌들의 격려 메시지가 쇄도하고 있지만 정작 대표팀의 표정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다.

이 뜨거운 열기는 올림픽이 끝나자마자 사라질 것이며, 오라는 곳 없는 선수들과 코칭스태프들은 운동을 포기한 채 생존의 길을 걷거나 운동을 계속하기 위해 하는수 없이 (생활)시설에서 생활해야 하는 처지이기 때문이다.(본지 8월 25일자 보치아 "금메달로 비인기 종목 설움 씻어내겠다" 참조)

이런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알고있는 한국장애인보치아연맹 우원식 회장이 베이징 현지에서 편지글로 보내왔다.

다음은 우원식 회장의 편지글 전문이다.  (편집자 주)

오늘은 정말 기분 좋은 날

어제 급히 베이징으로 건너 왔습니다.
듣기에도 생소한 ‘한국 장애인 보치아 연맹’의 회장을 맡고 있는 저로서는 우리 장애인 올림픽 선수단의 최연소인 박건우 선수의 올림픽 금메달 획득 소식, 그리고 여러 선수들의 선전 소식에, 자세히 보도도 되지 않는 우리 언론만 쳐다볼 수 없어 이곳으로 건너 온 것입니다.

   
▲ 보치아 단체전 금메달 수상자들과 코칭스태프. 상단 좌측이 한국장애인보치아연맹 우원식 회장이다 ⓒ대한장애인체육회
며칠 전 휠체어에 앉아 뒤틀리는 팔을 버둥거리며 온 몸의 힘을 얼굴로 모아 홈통을 통해 혀로 또는 입에 문 기구로 공을 굴리는 금메달리스트 박건우 선수의 사진은 보치아라는 낮선 경기를 웅변적으로 잘 설명해 주었습니다.

보치아는 손과 다리 모두 쓰지 못하는 중증 뇌성마비 장애인들이 하는 경기입니다.
몸이 틀어지고 손이 꺾여 있기에 그들에겐 더욱 운동이 필요하고 그래서 고안된 운동이 보치아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틀어진 손으로, 그것도 할 수 없으면 입으로, 머리로 경기를 합니다.
세상을 향해 외칠 수 있는 최소한의 몸짓이라도 있으면 그 몸짓으로 하는 경기가 바로 보치아입니다.

그렇게 입, 머리, 눈빛으로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손발이 되어 줄 보조자가 필요하고, 감독, 선생님, 코치로 불리우는 그 보조자들은 그들의 눈빛, 몸짖, 희미한 표정만 보아도 홈통위의 공 위치를 가늠합니다.
그야말로 혼연일체라는 말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일 것입니다.

그런 그들이 혼성 2인조 경기에서 오늘 또다시 박건우, 신보미, 정호연 조가 당당히 스페인 대표팀을 물리치고 금메달을 딴 것입니다.
아니 박건우 -김진환, 장호연- 권철현, 신보미-박희자조가 금메달을 딴 것입니다.

이들의 메달은 기쁨을 넘어 생존을 위한 절박함입니다
장애인들의 세계 체전인 프레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것은 정말 기쁜 일입니다.
자기 종목의 세계의 쟁쟁한 선수들 중에 최고가 되었다는 것은 평생 잊을 수 없는 본인의 기쁨이기도 하고, 나라의 이름을 국제 무대에서 우뚝 세움으로 해서 우리 국민 모두의 기쁨이기도 합니다.

정말 기쁜 일이지요.

그러나 오늘 제가 베이징까지 와서 정말 기쁘다고 이 글을 쓰는 것은 그런 기쁨만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사회의 중증 장애인이 겪는 상황을 조금이라도 돌아 본 분이면 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바로 이해하실 것입니다.

그들이 태어나면서부터, 장애를 갖는 그 순간부터 겪어 왔던 좌절과 절망의 고통, 그것들을 돌아보면 오늘의 금메달, 동메달들이 얼마나 소중한 성과이고 기쁨인지...
결코 눈물을 말하지 않고는 다 말할 수 없는 감동, 그 자체인 것입니다.
아니 그것은 감동, 감격의 단계를 훨씬 뛰어 그 기쁨을 눈물로 표현하는 것조차 호사스럽게 느껴지는 생존의 절박함이고, 이제는 이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 마련되었다는 안도감이기도 합니다.

    ▲ ⓒ대한장애인체육회 정호원 선수
이번 2인조 경기에서 금, 개인전에서 동메달을 딴 정호원 선수의 경우 10년 전 집안의 화재로 어머니와 형, 모두 세 식구가 큰 화를 당하였습니다.
엄청난 불길 속, 그 절박한 상황에서 어머니가 장애를 갖고 있던 정 선수를 보호 하기 위해 몸으로 감싸, 정 선수는 생명은 부지 할 수 있었지만 어머니와 형은 큰 화상을 입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그로 인해 정선수의 가정은 장애와 감당 할 수 없는 치료비로 산산이 부서져 버리게 되었습니다.

그런 정 선수가 선택한 길은 보치아였고, 보치아에서 성공하는 것 만이 정 선수가 생존하는 유일한 길이기도 했습니다.

하루는 저에게 정선수가 ‘저는 반드시 메달을 따야만 합니다. 홍익회에서 일하는 어머니가 받는 80만원과 화상의 흉터 때문에 주유소에서 야간에 만 알바를 하는 형의 수입으로는 그 치료비 빚을 도저히 갚을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메달을 따야만 합니다’라며 눈물로 절규하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래서 저는 정선수의 금과 동이 가슴이 시리도록 고맙고, 반갑고, 즐거운 겁니다.

신보미선수
태어나면서부터 팔도 다리도 쓰지 못하는 중증 뇌성마비 장애를 갖고 있었던 신보미 선수는 서울 시립병원 앞에서 버려진 갖난 아이로 발견되었습니다.

지금도 부모가 누구인지조차 모르는 신 선수는 고아들이 있는 영아시설을 거쳐 운 좋게도 장애인 특수 학교인 주몽재활원에서 초, 중, 고 과정을 거쳐 지금은 주간 보호시설인 이천의 ‘새 생명의 집’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다행히 주몽 재활원 시절 따뜻한 선생님이고 어머니인 이혜정 선생님( 한국 보치아 연맹 심판이사 )을 만나 보치아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신 선수는 지금 있는 보호시설이 장애 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정신장애와 산체장애를 모두 섞어 보호하기 때문에 본인의 장애조건과 맞지 않아 생활터전을 옮기기 위해서 메달을 꼭 따야 한다는 소원을 갖고 있었습니다. 이제 그 작은 소원을 이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신선수의 이번 메달 소식이 고맙고, 고맙고, 고마운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이 메달을 땄다고 이들이 겪는 문제가 다 해결 된 것이 아닙니다.

박건우선수
이번에 두 개의 금메달을 딴 박건우 선수의 경우만 해도 지금은 특수고등학교인 ‘인천 은광의집’소속이어서 이렇게 운동도 하고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도 냈습니다만 이제 학교도 졸업하게 되면 가정이 있어 어디 보치아 팀이 있는 시설에 들어 갈 수도 없어 소속이 없어지게 됩니다.

정호원 선수처럼 권철현 감독이라는 희생적인 자원봉사 보조자를 만나지 못하면 더 이상 운동을 할 수 없는 처지가 됩니다.
‘몸도 그런 애가 무슨 운동을 하느냐’며 운동하는 것을 반대한 부모님 덕분에 중간에 보치아를 중단까지 했던 상황이 있고, 가정 형편도 많이 어려워 집안에서 누가 전적으로 보조를 해 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에 두개의 금메달을 획득해 그 보상금으로 월세의 집을 전세로 옮길 수 있게 되어 부모님을 크게 기쁘게 해드렸다고 싱글벙글 합니다만 그러한 조건이 바뀌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이런 훌륭한 선수들을 잘 키워내야 하는데 참으로 답답한 현실입니다.

   
▲ 금메달을 획득한 보치아 대표팀 단체전 출전선수들과 코칭스태프. ⓒ대한장애인체육회
우리나라에는 이런 장애인 보치아 선수들이 한 1000명 정도가 됩니다.
한 선수 한 선수가 모두 이러한 기막힌 사연들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중증 장애인들이 겪고 있는 현실, 우리나라의 척박한 중증 장애인 정책이 그대로 투영되고 있는 열악한 상황 속에 그들이 모두 놓여 있습니다.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의 화려함이나 메달에 쏟아지는 언론의 관심,-그나마 국내 보도에는 잘 나오지도 않지만 -은 잠깐 뿐이고 그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세인의 기억 속에 흐려지고 다시 절박하고 척박한 일상으로 돌아갈 뿐입니다.

연맹이 튼튼하면 메달 딴 선수들에게 포상금도 듬뿍 듬뿍 주고 이런 기회에 대기업들에 부탁하여 돈도 크게 들지 않는 실업팀 창단도 해 보겠건만....

그 동안 국회의원이어서 우리 선수들에게 좀 도움이 되었는데 지난 선거에서 실패한 후로 별로 도움도 되지 못해 항상 미안한 생각 뿐입니다.
좋은 후임 회장도 생각해 봐야 겠습니다.

건우, 호원이, 보미가 금메달 따서 좋은 날,
난, 왜 눈물이 자꾸 나는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너무 너무 기분 좋은 날....
왜 난, 이리도 가슴이 저미는지 알다가도 모르겠습니다.

2008년 9월 12일 밤 베이징에서
한국 장애인 보치아 연맹 회장 우원식
작성자우원식 (한국장애인보치아연맹회장)  webmaster@cowalknews.co.kr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함께걸음 과월호 모아보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8672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노태호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