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의학의 현주소] 재활의학의 내용(2) > 기획 연재


기획 연재

[재활의학의 현주소] 재활의학의 내용(2)

본문

1) 재활의학의 개념
2) 재활의학의 철학과 역할
3) 재활의학의 내용
4) 재활의학의 과제와 전망

<·작업치료>
  작업치료는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치료영역이며 의료인들조차도 아직까지 그 개념과 내용을 모르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근래에 발전된 치료영역이지만 물리치료와 더불어 재활치료에 있어서는 기본적인 치료분야의 하나이다. 미국 작업치료사협회는 작업치료의 개념을 "작업치료란 건강을 촉진하고 유지시키며, 장애를 예방하고, 행동을 평가하며, 신체적 또는 정신사회적인 기능장애가 있는 환자를 치료하고 훈련시키기 위하여 선택된 어떤 동작이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학문이다"라고 정치한 바 있다.
  주로 이루어지는 작업치료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환자의 자가수행능력 (self-care activities)을 평가하고 훈련한다. 예를 들면 옷 입고 벗기, 식사, 목욕, 개인위생 등을 최대한대로 독립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이때 보조기나 적절한 기구의 사용 등을 고려하여 피곤을 최소화하고 힘이 덜 드는 간단한 방법으로 가사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직업수행에 요구되는 기술의 여부와 취미 등을 조사, 상지의 관절가동력, 근력, 지구력 및 협동운동 등을 유지하고 중진 시키도록 하는 것, 감각장애와 인지장애의 정도를 평가하고 회복을 위한 훈련, 가정환경을 평가하여 생활하는 데 불편을 줄 수 있는 환경의 개선(barrier-free environment), 운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여 필요하면 적절한 기구나 보장구를 이용하여 재훈련, 환자가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과보호를 최소화하도록 환자의 가족을 교육하는 것, 상지의지 장착 및 기능훈련, 사지마비환자나 중증장애를 가진 환자에게서 환경제어장치의 사용훈련과 평가, 보장구 및 기구사용 훈련, 연하곤란(저작 및 음식 삼키기)을 가진 환자의 평가 및 치료 등이다.

<언어치료>
  언어치료사(또는 언어병리사)는 언어장애 및 연하곤란(communication and swallowing)을 가진 환자를 담당하며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실시하게 된다.
  신경학적 이상으로 발생되는 언어장애의 평가와 치료, 발성 재교육, 발성기관의 수술 전에 상담활동, 인공후두를 이용한 식도발성의 훈련, 입안구조물의 수술 후 언어재교육, 연하곤란의 평가와 치료, 언어장애나 연하곤란을 보이는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교육, 대화보조 장치의 사용이 필요한 환자에 대한 평가와 훈련, 인지능력의 재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의지·보조기 장착>
   의지·보조기의 설계, 제작과 맞춤을 담당하는 분야로서 환자가 의지·보조기를 사용해 기능을 잘 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해주며, 보조기의 관리와 유지, 수선에 대하여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을 담당하게 한다.

<·재활간호>
  재활간호사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하여 장단기 치료목표의 결정에 도움을 주며 신체적, 사회적, 행동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고 장애우를 대하는 올바른 태도를 보여줄 수 있다. 재활간호사는 다른 분야의 간호치료와 비슷한 일을 하지만 특별히 환자가 최대한도의 기능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재활간호사의 주된 기능이다.
  간호치료는 여러 가지 일들 중 다음과 같은 것들을 책임진다.
  위생관리, 환경적 요인 등이다 예를 들면 열, 소음, 개인 도구의 관리, 공중위생, 감염 관리, 환자의 대화, 식사, 이동, 배설, 옷 입고 벗기 및 보행에 필요한 적절한 기구의 사용법의 교육 및 관리, 활동의 저하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별한 예방적 방법의 요구 및 교육, 목표하는 독립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특별한 방법의 요구, 다양한 치료들을 종합하여 환자가 일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투약관리 등을 담당하게 된다.

<·임상심리>
  임상심리사는 다양한 검사와 상담을 통해 환자의 재활치료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과 환자로 하여금 신체의 변화와 환경적 장애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간단히 담당하게 되는 내용을 소개하면, 검사항목으로는 인격유형,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식, 문제해결 능력, 심리적 상태(신경증, 정신병여부) 등이 포함되고 또한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필요한 검사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게 된다. 상담활동을 통해서는 신체변화에 따른 재적응,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질환이나 장애로 인한 이차적인 문제에 대한 상담, 성기능의 변화와 다른 생리적 기능의 변화에 따른 재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이외에도 지능, 기억력, 지각능력에 대한 검사 등을 수행하게 된다.

<·기타>
  사회사업 분야에서는 환자의 전체적인 삶에 대한 평가 즉 생활방식, 가족력, 지역사회, 질환이나 장애로 인해 파생된 결핍에 대한평가, 환자와 가족 간에 지속적인 유대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 경비문제의 해결과 내용에 대한 상담, 가정에서 가족들이 환자의 치료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 변화된 삶의 방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환자관리 등을 사회사업가들이 담당하고 있다.
  직업상담가(Vocational counselor)는 직업적 관심, 태도, 기술에 대한 평가, 직업의 전환이 필요한 환자에 대한 상담활동, 직업과 관련된 행동의 향상 즉 작업기술, 고용주와의 관리형성 등 환자와 환자에게 직업훈련을 제공하고 훈련시킬 기관간에 적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연결, 환자를 고용하게 되는 고용주에 대한 필요한 교육 및 상담 등을 담당하여 장애를 입은 환자가 적합한 직업에 재종사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재활치료의 대상>
  재활치료의 대상이 되는 질환은 일반적으로 장애를 초래하는 모든 질환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임상에서 재활의학 전문의가 다루고 있는 분야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뇌졸중 편마비(stroke hemiplegia), 뇌성마비(cerebral palsy),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질환(degenerative diseas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척추질환 및 손상에 의한 하지 및 사지마비(paraplegia or quadriplegia by spinal cord lesion and trauma), 소아마비(poliomyelitis), 말초신경손상(peripheral nerve injury), 관절염 (arthritis), 골절(fracture), 근육 및 결합조직질환(muscle and connective tissue disease), 경부 및 요부 동통(neck and back pain), 사지절단(amputee), 화상(burns), 호흡기능장애(respiratory dysfunction), 순환기장애(cardiovascular disorders).
  이상은 재활의학전문의의 능력 한계를 참고로 한 인위적인 보편적 대상선정에 불과하며, 실은 장애우재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력장애, 청력장애, 정신질환 등 환자들에 대한 재활도 의당히 재활의학영역에 속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이들의 재활치료에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더 많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전문가에게 의존해야 한다. 

작성자김윤태  webmaster@cowalknews.co.kr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함께걸음 과월호 모아보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8672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노태호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