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 연사, 래퍼에게 배우다 > 문화


꼬마 연사, 래퍼에게 배우다

[서기자의 변죽때리는소리] 가리온

본문

    1. 꼬마 연사
난 꽤나 내성적인 아이였다. 부모님은 성격을 개조할 필요가 있다며 날 동네 웅변학원에 보내셨다. 나처럼 낯을 가리는 아이들이 많았던 건지, 성공하려면 외향적인 성격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어른들이 많았던 건지는 모르겠으나, 당시엔 웅변학원이 유행이었다.

어렴풋한 기억으론, ‘무찌르자, 공산당’ 따위의 반공 구호나 ‘허리띠 졸라매고 죽어라 삽질하자’는 식의 새마을운동 캠페인 같은 연설문을 주절거렸던 듯하다.

당연히 원고는 내가 쓴 게 아니었다. 학원에서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유형 가운데서 골라준 것이었다. 내 입에서 튀어나오고 있는 말들이 진정 무슨 뜻인지도 몰랐다. 외워대느라 허덕댔을 따름이다. 돌이켜보면 코웃음밖에 나오지 않는 ‘풋내기 중의 풋내기’ 연사였던 것이다.

2. 알파벳 송
1990년대 초반 서태지와 아이들의 ‘난 알아요’는 랩이라는 전혀 새로운 형식이 대중 속으로 파고드는 데 절대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TV 속 가수들이 노래를 부르다 간주가 나올 때쯤이면 어김없이 정체불명의 남자가 튀어나와 짧은 랩을 뱉어대고 사라지는 모습은 하나의 공식처럼 굳어졌다.

가사는 영어가 주를 이루거나 우리말과 영어가 절반씩 섞인 게 많았다. Hey Yo, Come On Baby 따위의 추임새가 유난히 많이 등장했다. 래퍼들 가운데 재미교포나 유학파가 얼마나 됐는지는 모르겠다. 다만 영어 가사 가운데는 문법에 견줘보면 어색한, 콩글리시 냄새가 물씬 나는 것들도 많았다.

노래방에서였다. 댄스 가요를 부르던 친구는 간주가 나올 때에도 마이크를 움켜쥐고 한껏 폼을 잡았다. 화면에선 영어 랩 가사가 아우토반을 질주하는 스포츠카처럼 엄청난 속도로 지나가고 있었다. 처음엔 좀 따라하는 듯하던 친구는 이내 포기하곤 이렇게 외쳐댔다. “A B C D E F G….” 배꼽을 움켜잡은 우리들도 곧 동참했다.

우린 속사포 같은 영어 랩 가사가 뭘 뜻하는 건지에는 관심도 없었다. 의미 없는 알파벳 나열에 다름 아니었다.

    3. 시인과 논객 사이
가리온.
한국 언더 힙합의 대부라 불리는 이들. PC통신 흑인음악 동호회를 통해 알게 된 MC 메타(이재현)와 나찰(정현일)이 1998년 초 결성했으니 어느덧 햇수로 10년째다. 이들의 1집 앨범(2004)은 ‘한국적 힙합의 이정표’라는 평과 함께 골수팬들을 낳았다. 이들은 우리말로만 랩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 흔한 ‘Yo’도 없다.

“요즘 10대들 사이에선 미국 힙합은 전혀 듣지 않고 국내 것만 듣는 애들도 많아요. 미국 건 들어봐야 무슨 얘긴지도 모른다는 거죠. 우리도 그래요. 영어 랩은 할 능력도, 할 생각도 없어요. 영어로 우리가 하고 싶은 말을 온전히 할 수도 없고, 어찌어찌 영어 랩을 한다 해도 그걸 알아들을 사람이 얼마나 되겠어요?”

이들이 꼽는 힙합의 우선순위는 이렇다.
“요즘 보면 ‘라임’(시에서 운율과 같은 개념. 랩을 할 때 비슷한 발음이 대구를 이루게 배치해 리듬감을 주는 것) 플레이만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요. 근데 그건 가장 낮은 차원이거든요. 그보다 중요한 게 랩에 감정의 흐름을 실어 표현하는 ‘플로우’이고,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건 어떤 메시지를 담았느냐 하는 거죠.”

기타 연주로 치면, 얼마나 빠르고 화려하게 치느냐는 가장 낮은 단계의 기준이고, 연주에 감정을 얼마나 잘 담아내느냐가 한 단계 위의 기준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곡을 치느냐다. 원곡의 질이 떨어지면 아무리 훌륭한 테크닉으로 영혼을 담아 연주하더라도 큰 감동을 주기 어렵다.

“래퍼는 시인과 논객 사이 어딘가에 있는 사람이에요. 논객처럼 확고한 자기주장을 담아내면서도 시적인 요소를 활용해야 하는 거죠. 특히 자기만의 목소리를 내려면 끊임없이 사색하고 성찰해야 해요. 내공을 쌓아야 하는 거죠. 물론 힙합이 오랜 기간 억압받고 소외돼온 빈민가 흑인들이 분노의 목소리를 내던 데서 유래한 것이긴 하지만, 우리 상황에선 사회를 향한 도식적인 분노와 비판만으론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요.”

1집에서 ‘자의식을 파고드는 내안의 목소리’에 무게중심을 둔 이들은 오는 3월께 발표할 2집에선 ‘인간관계, 사회현상에서 나타나는 대립과 모순, 그리고 대안’에 대해 얘기할 작정이란다.

풋내기 꼬마 연사, 래퍼들에게 한수 배웠다.

가리온의 첫 싱글앨범 <무투>를 들으시려면 플레이 버튼을 클릭하세요.  

 

가리온!

단기 4338년 다시 돌아와


주먹을 쥐고 당신의 중심을 세워

고개를 들고 판에 다시 힘을 채워

우린 널 깨워


[1절]


변화란 내가 선택했던 매타 라임의 함수

공식의 증명으로 걸었던 건 내 마음의 말뿐

그래 맞아, 이 판의 반의 반은 덧없는 말의 맞춤

나머진 따분한 그 발을 감춘 파멸의 춤

난 어지러워, 어디로 넌, 거리로 뭘 찾아?

알아, 나를 낮춘 낮은 말씀 하나같이 칼을 갖춘

나의 적을 찾는다면 참을만큼 참은 나는

나를 만든 맞수와의 불타는 싸움판을!


듣기를 거부한자 바로

극기로 다져진 육체와 끈기로 버틸

생각이 없다면 새겨들어

머리속 지우개 과거 지우네

이미 네 운율 썩은 동아타고 하늘 위 이르네

낙차의 낌새는 겨우 올라탄 마지막 차

각자의 선택은 우린 다시 가지말자

생각을 해보나마나 이판을 지나서 갈 자

비판을 면하자 마자 비틀거리며 갈짓자


[후렴]


이 판에 불을 붙일 무장된 라임과

다시 판에 던진 새로운 이 투쟁의 비트로!

손에 잡힌 마이크와의 타는 싸움

불타는 판은 나를 만들 나의 싸움!


이 판에 불을 붙일 무장된 라임과

다시 판에 던진 새로운 이 투쟁의 비트로!

손에 잡힌 마이크와의 타는 싸움

불타는 판은 나를 만들 나의 싸움!


[2절]


벌써 끝난거야? 그게 마지막 나이를

말하는 거라면 나도 빛을 잃어버린 아이?

등 뒤에서 같은 침묵의 노래를 부르는 사이

다 떠나고 말았어 이게 결정적 차이

언제부터인가 이 땅에선 노래가 살았어

그때를 생각하며 나는 외쳐!

한번도 잊지 않았어 널 보며 자랐어

난 아직도 내 적에게 분명한 랩을 뱉어!


지나 진화를 거듭 내소리를 묻거든

끝에서 끝으로 알수없는 매직매듭

한오라기 한올을 풀어나가고는 있거든

결국에는 얻은 다가오는 적을 겨눈

수세와 공세 밀리니 절제와 견제 못하니

언제나 선채 지리니 설 때만 결례

참을 인을 삼회복창 살인을 면해봤자

참을 만큼 참아봤자 네번째는 끝장


[후렴]

 

[3절]


이것봐! 전장에 그 불을 모두 밝혀

당신이 그 칼을 거둔다면 모두 다쳐

태반이 그들의 손아귀에 붙잡혀

벗어날 수 없다 포기하면 안돼, 달려

누군가 무리 속에 우리를 위협이라 불렀어

아니, 무리가 우리의 위협 그건 틀렸어

사실 깊이는 있지만 검은 속을 알 수 없어

용기는 있지만 교만한 자, 널 죽였어

기형적으로 자라난 이 심상의 그림자

내 적들의 가슴 속에다 깊게 날 그린 날

탑재된 개념의 방아쇠를 힘껏 당겨

상념의 시체를 가슴안에 묻고 달려

쓰러진 거인의 발꿈치에 우린 단호한

마지막 불을 붙이네 결전은 내 확고함

이 판에 남은 당신 모두 우리를 따라와

죽은 영혼의 도시에 왕이 다시 찾아와!


[후렴] X 2

작성자서정민 (한겨레 신문사 기자)  westmin@hani.co.kr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함께걸음 과월호 모아보기
함께걸음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8672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노태호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