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인권의 도약, 김미연 위원의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장 당선을 환영한다 > 국내소식


장애 인권의 도약, 김미연 위원의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장 당선을 환영한다

[성명]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25.3.5.)

본문

 
 
성 명 서
 
 
장애 인권의 도약, 김미연 위원의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장 당선을 환영한다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이사장 김성재, 이하 ‘연구소’)는 김미연 유엔 장애인권리위원의 위원장 당선을 진심으로 환영하며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 정부와 장애계가 협력하여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이행을 강화하고, 국제사회에서 장애 인권 향상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기대한다.
 
 김미연 신임 위원장은 한국의 장애 관련 정책이 태동하던 시기부터 국제사회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 특히, 장애 여성의 인권 향상을 위해 전 세계의 장애 여성과 연대해왔으며 이러한 노력은 2006년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채택 당시, 장애 여성을 위한 조항을 포함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로 이어졌다. 또 김 위원장은 2018년 유엔 장애인권리위원으로 선출된 이후 대한민국이 보다 더 국제사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기여해 왔다.
 
 이번 위원장 선출은 유엔인권조약기구에서 아시아 장애여성으로서 최초라는 점에서 더욱 역사적 의미가 크다. ‘15억 명의 세계 장애인의 인권 보장과 191개국에 이르는 당사국들의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완전한 이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는 김미연 신임 위원장의 당찬 포부처럼 앞으로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를 이끌며 국내외 장애인의 권리 보장을 위해 더욱 중추적인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
 
 연구소는 대한민국 정부가 이번 선출의 의미를 깊이 인식하고,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이행을 위한 책무를 다할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또한, 국제사회에서 장애 인권을 선도하는 국가로서의 책임을 다할 것을 요구한다. 대한민국은 이번 선출을 자부심으로 삼고, 장애인의 권리가 실질적으로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더욱 적극적인 정책과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 연구소는 김미연 위원의 리더십 아래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가 더욱 발전하고 전 세계 장애인의 권리 보장에 한층 기여할 것이라 확신하며 장애 인권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연대와 협력을 약속한다.
 
 
2025년 3월 5일
 
사단법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상기 내용은 사단법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에서 작성 및 배포한 성명서 원문입니다. 
작성자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cowalk1004@daum.net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함께걸음 1,2월호(407호) 표지
함께걸음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5364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치훈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